1에너지 신산업
01.에너지 밸리 조성
대한민국 최대 에너지 기업인 한국전력공사, 한전KDN, 한전KPS등 16개 공공기관이 이전한 빛가람혁신도시에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설립('22. 3. 개교)과 함께 연구소 등을 집적화한 첨단과학단지 조성으로 국내 최대 에너지ᆞICT융합 산업의 비즈니스 기회가 열립니다.
광주ᆞ전남 공동혁신도시
지역
- 전남 나주시 빛가람동 일원(7,361천㎢)
계획인구
- 인구 5만명 / 2만 가구의 자족형 독립 신도시
이전기관
- 한국전력공사 등 16개 공공기관


빛가람 에너지밸리
투자대상
- 이전 공공기관 협력업체, 연구소, 민간지식산업센터
- 산ᆞ학ᆞ관 클러스터 부지(에너지ᆞICT, 벤처기업, 소프트웨어)
- ICTᆞ콘텐츠 중소기업 특성에 적합한 민간 지식산업센터 유치
장점
- 빛가람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서남권과 동부권을 아우르는 에너지 신산업벨트를 조성하여 세계적인 에너지 수도로 도약
- 한전을 비롯, 산ᆞ학ᆞ연 협력 네트워크 형성으로 에너지분야 신산업 발굴
- 에너지밸리 기업개발원, 기업이전ᆞ창업보육센터 및 R&D지원
- 에너지신기술연구소, 에너지밸리산학융합원, 한국폴리텍대학 전력기술교육센터 등 설립
- 국가 대형연구시설 구축(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 인공태양 공학연구소 등)
에너지밸리 투자 인프라 구축
-
국가혁신클러스터 지정
(3.3㎢, '18. 11.) - 규제완화, 보조금, 금융 지원 등
-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
(18.92㎢, '19.11.) - 연구개발, 기반시설, 인력양성 등
-
에너지신산업규제자유특구 지정
(19.94㎢, '19.11.) - 규제샌드박스 적용 등
-
에너지밸리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1.69㎢, '20.8.) - R&D 지원, 조세감면, 실증특례 등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설립 개요('19~'22)
- 위치 : 전남 나주시 빛가람동 일원(부영 CC 일부 및 인근 농경지)
- 면적 : 120만㎡(대학부지 40만㎡, 연구소ᆞ클러스터 부지 80만㎡)
- 정원/개교 : 1,000명(대학원 600, 학부 400) / '22년 3월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조감도
02.세계 최대해상풍력 허브 조성
대한민국을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견인하기 위해 전남의 풍부한 해상풍력 자원을 활용, 신안 앞바다에 8.2GW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합니다.
8.2GW
- 서울·인천 모든 가정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
- 현존하는 세계 최대 단지(영국 horn sea 1.12GW)보다 7배
- 연간 약 1천만ton의 CO2를 줄이는 효과(소나무 약 7,100만 그루)
지역
- 목포신항만, 목포 대양산단, 영암 대불산단, 신안 압해산단(예정)
유치업종
- 풍력터빈, 타워, 블레이드 생산‧조립, 풍력발전 기자재 등
장점
- 전남의 해상풍력 잠재량은 12.4GW로 전국 33.2GW의 37.3% 차지(전국 1위)
-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 해상풍력 생태계 서플라이 체인(Supply chain) 구축
8.2GW 해상풍력발전단지 개요
- 기간
- 2020 ~ 2030년
- 규모
-
투자 48.5조원,
기업유치ᆞ육성 450개,
일자리 창출 117,506개
- 사업내용
-
- 풍력발전기 생산ᆞ조립단지 조성(39만㎡/6천억원/민간)
-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45.4조원/ 민간)
- 송전선로(2.3조원/한전) 구축 및 목포신항만 해상풍력 지원부두ᆞ배후단지 개발(27만㎡/2,180억원/해수부)
03.이차전지 산업
제2의 반도체라 불릴 만큼 세계적으로 고속성장이 전망되는 '이차전지' 산업을 전남의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습니다.
지역
- 나주 에너지밸리,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등
유치업종
- 이차전지 소재부품(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생산 및 제조 기업
장점
- 전남은 전국 최대 기초원료(금속, 화학, 세라믹) 생산 중심도시에서 최근 이차전지 소재부품가공기업 투자가 활발하며 이차전지 소재부품산업 육성 최적지로 부상
- 원료가공 : 차세대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세라믹 기술개발 연구 및 기업지원을 위한 세라믹산업종합 지원센터가 구축되어 있으며 다수의 세라믹 기업 보유
- 소재부품 : 이차전지 4대소재, 배터리생산에 이르기 까지 포스코 케미칼, 제이셀, LG화학, 포스코, 피엠씨텍 등 관련 기업이 다수 분포
- 전국 50개사(전남 13, 충남 12, 충북 7, 경북 7, 경남 5, 전북 2, 수도권 4) - 수요시장 : 비교우위의 재생에너지자원을 바탕으로 최대의 ESS 수요시장과 전남이 선도하고 있는 e-모빌리티 산업으로 새로운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 창출
- 기반구축 : 이 차전지 관련 기업・연구기관과 함께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화 및 다양한 배터리 응용제품 기술개발과 향후 배터리 소재원료 공급 기반 구축 사업 추진 중
이차전지 연구개발ᆞ인프라
- 나주EVᆞESS 사용 후 배터리 리사이클링 센터
-
- EVᆞESS 사용 후 배터리 평가ᆞ인증
- 센터 6,204㎡, 평가장비 37종
- 목포전기추진 차도선 및 이동식 ESS 개발
-
- 순수 전기추진 차도선 개발 및 실증
- 이동ᆞ교체식 전원공급 시스템 운영기술
- 광양친환경 리튬전지 재활용 기술개발 센터
-
- 소재부품 검증 기반 구축, 기술 고도화
- 리튬베터리 자원재활용 소재 개발
04.친환경 수소에너지 생태계 조성
정부의 미래 혁신성장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가 그린수소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수소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갑니다.
지역
- 여수(국가산단, 율촌산단 등), 나주(에너지 스마트 국가산단), 영광(대마산단)
유치업종
- 수소 연료전지 및 관련 부품 소재업체
생산현황
- 여수 석유화학단지에서 국내 2위의 부생수소를 생산(전국의 33%)
- 국내 최대 신재생에너지(태양광ᆞ풍력) 발전 잠재력 그린수소 생산 최적지
- 광양만을 중심으로 포스코 ESM 등 수소산업 부품ᆞ소재기업 집적화(17개사)
한국에너지공대 중심
그린수소 원천기술 개발
핵심지역으로 육성
- [중부권] 나주, 영광 등
- 그린수소 에너지 연구개발 거점
영광 e-모빌리티
산업용 소형 연료전지 개발
여수를 수소 시범도시로 지정 추진
- [동부권] 여수, 순천, 광양 등
- 수연료전지 및 부품소재 생산기지
- [서부권] 서남해안 일원
- 그린수소 대규모 생산 및 실증단지
태양광ᆞ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시설과연계한 그린수소 생산 및실증 Test-Bed 구축